출판인 재교육을 위한 반성과 展望(전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1 01:47
본문
Download : 출판인 재교육을 위한 반성과 전망.hwp
정기도는 가상세계를 실물이 아닌 ‘모사되었’거나 ‘만들어진’ 이미지들로 가득 차 있는 세계이고 그 이미지들은 실재(reality)를 디지털 정보로 재현한 다음 프로그램(program]) 적 처리에 의해 재생시킨 이미지라고 하였다.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의 기반이 되는 가상 세계는 이미지의 세계이기 때문에 그 안에 어떠한 실재도 존재하지 않는다.,인문사회,레포트
출판인 재교육을 위한 반성과 展望(전망)
설명
1. 서론
2. 재교육의 必要性
1) 매체 environment(환경) 의 변화
2) 새로운 출판 기술의 개입
3) 출판 environment(환경) (독자)의 변화
3. 출판인 재교육의 現況(현황) 과 반성
1) 역싸와 現況(현황) , 그리고 반성
2) 출판인 재교육이 정착되지 못한 이유
4. 인접 매체의 종사자 재교육
1) 한국언론재단의 연수 및 지원 프로그램(program])
2)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의 교육 프로그램(program])
5. 結論 : 출판인 재교육을 위한 전망
(2) 상호작용성이 중시되는 매체로 전환
디지털 시대의 출판매체인 전자출판매체들은 전통적인 서책과는 달리 상호작용성이 중시되는 매체이다. Claude Cadoz, Les Realites Virtuellse, Flammarion, 1994, 심윤옥…(생략(省略))
레포트/인문사회
출판인재교육을위한반성과전망 , 출판인 재교육을 위한 반성과 전망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출판인 재교육을 위한 반성과 전망.hwp( 80 )
순서






출판인재교육을위한반성과展望(전망)
다. 상호작용은 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실시간으로 신속하게 reaction response하는 컴퓨터의 연속적인 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우리는 그것을 마치 실재하는 것처럼 느낄 수 있고 그것과 상호작용을 할 수도 있따 네트워크화 되어 있는 사회에서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은 더 이상 일방적 커뮤니케이션이 아닌 상호작용적 커뮤니케이션으로 변화하면서 기존의 라스웰 理論을 기초로 한 커뮤니케이션 모델인 S-M-C-R-E에서 벗어나 User to User 모델로 변화하게 된다 윤준수, 「Internet과 커뮤니케이션 패러다임의 대전환」 커뮤니케이션북스, 1998, p.138.
(3) 가상성을 바탕으로 하는 매체로 전환
컴퓨터를 통해 접할 수 있는 정보들은 물리적 실재성이 아닌 가상성의 정보다. 정기도, 「나, 아바타 그리고 가상세계」 책세상, 2000, p.45.
카도즈(Claude Cadoz)도 컴퓨터는 전자 화면의 미세한 점들(pixel) 하나 하나의 색채와 빛의 명암을 정확히 조절함으로써 하나의 이미지를 나타내 보일 수 있는데, 이 픽셀들이 나타내는 색채와 빛의 명암이 체계적인 모양새로 배열되어 있을 때, 인간의 시각은 그것들을 나란히 붙어서 빛나고 있는 점들의 배열로 인식하지 않고, 서로 긴밀하게 결합된 하나의 실체로 인식하게 된다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