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이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2 14:21본문
Download : 폐이식.hwp
ㆍ55세 이하
ㆍ정상적인 심장 기능
ㆍ폐 조직을 제거한 후에도 정상적인 폐 기능이 가능해야 한다. 조직 접합성에 대한 검사는 폐이식에서는 시행하지 않는다. 환자는 심각한 관상동맥질환이 없고 좌심실 기능이 정상이며, 다른 장기에 심각한 기능장애가 없어야 하며, 거동이 가능하고 적절한 영양상태이고 만족할 만한 정신사회적 상태이어야 하며, 어전의 내과적 치료에 대한 순응도가 있어야 한다.
①수술 직후에 적용할 폐의 간호관리(기침, 객담배출 등)에 대해 교육
②폐 근육을 강화시키고 섭생을 조절하기 위해 환자를 보조하는 것
2.수술과정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절개는 횡개흉술()로 뒤쪽읠 조직에 접근할 때도 이 방법을 선택하는데, 병든 폐를 제거한 후 새로운 폐난 폐엽을 흉…(省略)
폐이식 , 폐이식의약보건레포트 , 폐이식
폐이식




폐이식
레포트/의약보건
순서
폐이식,의약보건,레포트
Download : 폐이식.hwp( 13 )
설명
다.
ㆍ정신적인 안정 상태
ㆍ기증하도록 강요받지 않아야 한다.
ㆍ감염이나 암 병변이 없는 상태
ㆍ건강한 폐 조직
ㆍ수혜자와 조직이 일치
ㆍ혈액형 일치
-생체 기증일 경우 다음 사항이 추가로 포함된다된다. 기증자의 기준은 다음과 같다. 제외되는 기준은 다음과 같다.
폐이식(Lung transplantation)수술전후 간호 성인간호 p,770
1.수술 전 관리
(1)수혜자 기준
-수혜자는 폐에 심한 부가역적인 이상이 있는 사람으롤 수술에서 생존할 가능성이 충분히 있어야 한다.
ㆍ기증하는 쪽 부위가 이전에 흉곽 수술을 한 적이 없어야 한다. 환자의 연령, 이전의 흉부수술력, steroid 치료의 경험 등도 고려되어야 한다.
(3)교육방법
-수술 전 기간에 다음 2가지 활동이 중요하다.
ㆍ심한 정신질환
ㆍ자기학대 경향
ㆍ의학적인 섭생에 불순응하거나 낮은 순응을 한 과거력
ㆍ지난 5년 동안 종양이 있었거나 현재 종양이 있는 상태
ㆍ전신적인 감염증
ㆍ불가역적인 신장, 간 질환
ㆍ만성, 점진적인 우심부전증
ㆍ면역억제로 악화될 수 있는 문제가 있는 경우
(2)기증자 기준
-기증자와 수혜자 사이에 혈액형과 폐의 크기가 적합 해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