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발달론] 아동발달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7 05:06
본문
Download : [아동발달론] 아동발달론.hwp
(2)쿠잉과 옹알이
영아는 쿠잉과 옹알이를 하면서 스스…(투비컨티뉴드 )
순서
![[아동발달론]%20아동발달론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5%84%EB%8F%99%EB%B0%9C%EB%8B%AC%EB%A1%A0%5D%20%EC%95%84%EB%8F%99%EB%B0%9C%EB%8B%AC%EB%A1%A0_hwp_01.gif)
![[아동발달론]%20아동발달론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5%84%EB%8F%99%EB%B0%9C%EB%8B%AC%EB%A1%A0%5D%20%EC%95%84%EB%8F%99%EB%B0%9C%EB%8B%AC%EB%A1%A0_hwp_02.gif)
![[아동발달론]%20아동발달론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5%84%EB%8F%99%EB%B0%9C%EB%8B%AC%EB%A1%A0%5D%20%EC%95%84%EB%8F%99%EB%B0%9C%EB%8B%AC%EB%A1%A0_hwp_03.gif)
![[아동발달론]%20아동발달론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5%84%EB%8F%99%EB%B0%9C%EB%8B%AC%EB%A1%A0%5D%20%EC%95%84%EB%8F%99%EB%B0%9C%EB%8B%AC%EB%A1%A0_hwp_04.gif)
![[아동발달론]%20아동발달론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5%84%EB%8F%99%EB%B0%9C%EB%8B%AC%EB%A1%A0%5D%20%EC%95%84%EB%8F%99%EB%B0%9C%EB%8B%AC%EB%A1%A0_hwp_05.gif)
[아동발달론] 아동발달론
[아동발달론] 아동발달론
[아동발달론] 아동발달론 , [아동발달론] 아동발달론인문사회레포트 , 아동발달론 아동발달론
다.
영아들은 독특한 모성어를 특별히 선호 한다. 따라서 영어가 모국어인 사람의 경우 설전음 라(ra)에 상응하는? 청각피질의 뉴런은 설측음(la)에 상응하는 청각피질의 뉴런과 멀리 떨어져 있으나 Japan인의 경우 뒤엉켜 있다 Japan인이 설전음과 설측음을 잘 구분하지 못하는 것은 그 때문이라고 한다. 청각구도가 완성되는 건 첫돌 무렵 쿨은 생후 12개월이면 모국어에서 쓰이지 않는 음은 더 이상 식별하지 못하게 된다고 하였다. 울음은 유아의 가장 기본적인 의사소통의 수단이지만 진정한 의미에서 언어라고 말할 수없다. 쿨에 따르면 그와 같은 지각구도는 소리와 소리 사이의 차이. 유사성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것이라고 한다. 아기들은 모국어에 없는 소리에 대상으로하여는 아무 reaction 을 보이지 않는다.
레포트/인문사회
아동발달론,아동발달론,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아동발달론] 아동발달론.hwp( 79 )
설명
1.영아기의 언어발달과정에서 언어획득이전의 발달과
언어획득이후의 발달에 대상으로하여 정리(整理) 해보시오.
1. 언어 이전시기
*언어이전시기 영아의 말소리 지각
갓난아기의 세계에는 말이 있기 전에 소리가 있다 아기가 한 음소를 되풀이해서 들을 경우 귀의 뉴런이 뇌의 청각피질에 전용회선이 형성되도록 자극한다.
특정한 청각적 자극에 reaction 할 수 있으며 동시에 태내기의 청각적 경험을 기억하고 처리할 수 있다
생후 1개월 정도가 되기전에 자음소리를 범주적으로 지각하여 pa 와 ba 사이의 미묘한 차이를 구분해 낼수있으며 말소리에 대한 등가분류도 할 수 있어 소리를 낼때마다 엄밀히 보아 서로다른 다양한 pa들을 동일한 소리로 지각할 수 있다
결국 아기는 출생 이전부터 혹은 출생 시에 말소리를 변별하여 들을 수 있는 능력을 지니고 있으며 이것은 모국어 학습의 기초를 형성한다. 전문가들은 여러 언어 연구를 통해 이를 입증해내고 있다 쿨이 학계에 보고한 바에 따르면 영어권 아기는 생후 6개월쯤이면 스웨덴어권 아기와 다른 청각구도를 지니게 된다는 것이다.
(1)초기 발성
울음 하품 기침 재채기 트림 등 소리를 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