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철학과 環境(환경)윤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3 08:54
본문
Download : 생태철학과 환경윤리.hwp
생태철학과 환경윤리 , 생태철학과 환경윤리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생태철학과 環境(환경)윤리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Download : 생태철학과 환경윤리.hwp( 64 )
다. 이상과 같이 살아 있는 사람과 동등한 도덕적 위상을 갖는다고 주장 할 수 없다. 3) 현재와 미래의 가장 분명한 차이는 미래세대가 아직 존재하지 않는 ‘잠정적 위상’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가까운 시간 4-5세대의 정도가 아니라 10만년 100만년이라고 한다면 또 다른 문제가 되는 것이다.
생태철학과 環境(환경)윤리
순서
생태철학과 環境(환경)윤리에 대한 글입니다. 우리는 미래의 욕망을 알지 못하며 현재의 이익관심의 수준과 미래세데의 …(drop)
생태철학과 환경윤리에 대한 글입니다.
- 환경윤리학에서 미래세대의 문제
1. 전통철학에서 미래세대의 문제
2. 미래세대에 대한 도덕적 의무의 근거와 범위
1) 낯선 사람에 대한 원조의 의무와 미래세대에 대한 의무
2) 의무의 삭감
3. 의무의 세대간 분배
4. 미래세대의 도덕적 권리
5. 미래세대를 위한 의무의 원칙
Ⅱ.1. 낯선 사람에 대한 원조의 의무와 미래세대에 대한 의무
우리는 한번도 만나 보지 못한 에디오피아의 굶주리는 어린이를 위해, 혹은 북한의 어린이를 위해 기부금을 낸다. 이러하므로 낯모르는 현존세대의 궁핍과 고통을 막을 의무로부터 ‘시간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미래세대에 상대하여도 동일한 의무를 갖는다’는 사실을 추론할 수 있따 그러나 쉽지 않다. 먼 미래세대를 살리는 구원의 책임을 현존세대나 곧 태어날 세대나 직계후손들이 분담할 수 있으나 그러나 책임의 전부를 분담하지 않고 부분적으로나 떠맡기고 떠맡을 수 있을지 의문이다. 아주먼 미래에 나타나든 도덕적 중요성의 차이는 없다.
◐ 시간적으로 너무 멀리 떨어져 있다는 반론
먼 미래 인류는 현존세대로부터는 물론이고, 그 다음 세대로부터도 도움을 받을 수 있는데 비해, 현존세대는 그들을 도울 수 있는 현재 살아 있는 마지막 세대이다. 미래세대의 잠정적 위상에 근거해서 그들의 필요를 삭감하려는 논자들에 대한 대답은 이러한다. 2) 시간적으로 얼마나 멀리 있느냐 하는 문제이다.
Ⅱ.2. 의무의 삭감
그러나 미래에 존재할 사람들의 이익이 현존 인류의 이익에 대한 배려와 동일할 수 있을까? 미래 인류에 상대하여도 현존세대들의 필요를 배려하는 것과 ‘동등하게’ 배려해야 하는가?
카브카는 미래 인류는‘가능적 현존’이라는 잠정적 위상을 가지기 때문에 우리는 그들의 이익관심을 낮게 평가해도 좋다는 주장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왜냐하면 1)미래세대의 도덕적인 요구가 현존세대와 같을 것인지를 알아내기가 힘이 드는 일이다.